Windows |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태그가 있는 질문 11개

정렬 기준: 업데이트됨
답변 1개

azure 학생 크레딧 구독 시 전화번호 인증 오류

azure 학생계정인데 학생크레딧을 구독할려고 전화번호 인증 중입니다. 인증시에 문자로 확인코드가 오지 않아 여러번 시도했더니 이제 문자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면 위의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다른 전화번호로도 시도해봤는데도 문자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면 위의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위의 학생계정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 로그인하면 사진처럼 프로필이미지 옆에 에러문구가 보입니다. 이것도 위의 전화번호 인증과 관련된 문제인 것 같아서 사진 첨부합니다.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9-25T14:27:12+00:00
익명
답변됨 2024-09-25T16:27:56+00:00
익명
답변 3개

웹에서 로그인 가능 한데 앱에서 로그인에 오류가 발생합니다

웹에서의 로그인은 잘되지만 앱에서 로그인을 할려고 하면 오류가 떠서 진행할수가 없습니다.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된다고 합니다. Correlation Id: b523fbcb-912f-47d3-bd3c-e0e1b60a9330Timestamp: 2024-07-31T03:28:49.000ZDPTI: 3c0b0585ac03faf662547032daa49c7db10c12baa958ba00240616080533a319Error Tag: 7q6chError…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7-31T03:32:29+00:00
익명
답변됨 2024-08-01T03:10:52+00:00
익명
답변 1개

Microsoft Store 차단됨. IT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윈도우 11 education 업데이트 이후 Microsoft store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가능했음. 학교 메일로 정품인증 후 스토어에 들어가서 로그인 실패함. 이후 "microsoft store 차단됨. IT 또는 시스템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창이 계속 뜸. 학교 라이센스에 문제가 있을까봐 학교에 문의하였으나 MS로 문의하라고 답변 받음. *** Moved from Windows / Windows 11 /…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7-18T05:26:23+00:00
익명
답변됨 2024-07-25T02:56:09+00:00
익명
답변 1개

학교 또는 회사 계정으로 로그인이 안됨

Correlation Id: 80763324d759000246e9798059d7da01 Timestamp: 2024-07-16T08:47:56.283Z 학교또는 회사 계정으로 컴퓨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로그인이 안된다. 이전엔 잘 됐다. that microsoft account doesn't exist 메시지만 뜬다. 내 파일이 뜨질 않는다 제발 해결 ***moved from Windows / Windows 11 / 설정***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7-16T08:51:33+00:00
익명
답변됨 2024-07-18T01:59:16+00:00
익명
답변 2개

HID 규경 장치 관련 질문

어느 날 갑자기 마우스 좌클릭 시 우클릭이 되는 현상이 일어나 마우스 드라이버를 HID 규격 장치로 변경했더니 마우스 커서가 사라졌습니다 아무리 되돌려보려고 노력을 했으나 빈번히 실패를 했습니다 마우스 커서는 사라졌고 해결할 방법은 모르겠고 결국 해답을 찾으려고 이렇게 질문을 해봅니다 마우스를 아무리 움직여봐도 요지부동입니다 마우스를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해결할 방법이 있을까요?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7-08T15:05:57+00:00
익명
답변됨 2024-07-08T17:31:51+00:00
익명
답변 1개

연결 프로그램 변경 시 변경하려는 exe가 이전 exe와 이름이 같으면 변경이 안됩니다

제목 그대로 연결 프로그램 변경 시 변경하려는 exe가 이전 exe와 이름이 같으면 변경이 안됩니다. dnm 파일이 0500\Dn-Famitracker.exe로 열리게 되어있다가 다른 폴더에 업데이트를 설치 후 0502\Dn-Famitracker.exe로 열리게 변경하려 하면 같은 파일을 고른듯이 행동하고 결국엔 0500\Dn-Famitracker.exe로 열리게 됩니다. 다른 컴퓨터에서, WINDOWS 10/ WINDOWS 11에서, 다른…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7-06T08:11:08+00:00
익명
답변됨 2024-07-08T01:15:54+00:00
익명
답변 1개

Microsoft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끄기 설정 오류

PC에서 HANG이 종종 발생되어 작업 관리자에서 확인 했을 때 MsMpEng.exe 의 점유율이 높아 Defender 를 끄려고 gpedit.msc(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통해 'Microsoft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끄기' 설정을 '사용'으로 변경했습니다. 그런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확인해 보면 '사용'으로 변경된 설정이 **'구성되지 않음'**으로 원상 복귀 되는데 왜 그런지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별도의 추가 백신 설치 유무와…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3-28T07:10:43+00:00
익명
답변됨 2024-04-01T10:04:50+00:00
익명
답변 1개

what does abbreviation 'h' means, in use of %hs?

some print string context, uses like printf("%hs, String); I know the differ of s and hs. just want to know the abbreviation "h". half? help? what is it!??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3-28T08:49:32+00:00
익명
답변됨 2024-03-29T01:44:27+00:00
익명
답변 1개

계정에 로그인 할 수 없도록 차단된 것 같습니다.

노트북에 로그인하려 할 때 ‘이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없습니다. 다른 계정으로 시도하십시오.’ 라는 문구가 뜨고 암호 재설정을 하려 메일 주소를 입력해도 사진과 같이 계정이 차단 되었다는 내용이 뜹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모두 알고 있지만, 이도저도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참고로 저의 microsoft 계정은 교육용 학교 계정이고, 학교 계정은 이상 없이 존재합니다. 다만, 마이크로소프트에 로그인 하려 할때만 이상이 생기고 있는 상황입니다.…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3-15T07:05:12+00:00
익명
답변됨 2024-03-18T09:19:08+00:00
익명
답변 1개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안됨

안녕하세요, 윈도우 10 edu를 학교 계정에서 지원 받아노트북에서 사용하던 사람입니다. 졸업을 하며 더 이상 학교에서 윈도우 10 edu 지원용으로 사용하였던 계정으론 더이상 로그인이 되지 않는다고하여 gmail로 microsoft 계정을 만들고해당 계정을 관리자 계정으로 전환하여 약 두달간 사용했습니다. (원래 있던 학교 지원 계정은 삭제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사용자 계정을 보니 제가 gmail로 만든 사용자는 사라지고 원래 사용하던 학교…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3-12T14:24:05+00:00
익명
답변됨 2024-03-15T11:01:32+00:00
익명
답변 1개

win10 WMI 소프트웨어를 액세스할수없습니다. Windows 관리파일이 이동되었거나 없습니다.

실행 - msinfo32 를 실행하면 '정보를 수집할 수 없습니다' 'WMI 소프트웨어를 액세스 할 수 없습니다. Windows 관리 파일이 이동되었거나 없습니다.' 라고 뜹니다. Services.msc 로 접근하여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항목을 보면 상태는 [실행중] / [자동] 으로 되어있습니다. 이 현상이 나타나기전에 했던 작업은 바이오스로 진입하여 CPU 설정 - SVM Mode 를 활성화 윈도우…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원격 및 가상 데스크톱
질문됨 2024-01-10T07:36:10+00:00
익명
답변됨 2024-01-15T02:30:27+00:00
익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