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을 통해 공유

두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익명
2025-01-13T02:32:07+00:00

사용환경 win 10 Pro 64 (행정기관)

질문1

KB5016061 TPM 관련 업데이트인것으로 보이는 데 이것이 부트로더를 깨먹거나 블루스크린 유발할수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가령 Inacessible Boot Device 라던지 부팅을 못하게 만드는 요소가 있는지요.

질문2

다음 오류로 인해 luafv 서비스를 시작하지 못했습니다. 이 드라이버가 차단되었기 때문에 로드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주요발생시킬수 있는 블루스크린 코드를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즈니스용 Windows | IT 전문가용 Windows 클라이언트 | 성능 | 애플리케이션 기술 및 호환성

잠긴 질문. 이 질문은 Microsoft 지원 커뮤니티에서 마이그레이션되었습니다. 질문이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응답할 수는 있지만, 메모나 회신을 추가하거나 질문을 따를 수는 없습니다.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마이그레이션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 프로필은 익명으로 처리됩니다.

댓글 0개 설명 없음
투표 {count}개

답변 3개

정렬 기준: 가장 유용함
  1. 익명
    2025-01-14T06:24:18+00:00

    이 응답은 자동으로 번역되었습니다. 따라서 문법 오류 또는 이상한 표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Microsoft 커뮤니티 포럼에 게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명에 따르면 귀하의 질문이 두 가지 질문과 관련이 있음을 이해합니다.

    질문 1 :

    Microsoft 업데이트 카탈로그에서 KB5016061찾을 수없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Windows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Microsoft는 취약한 부팅 로더 모듈을 보안 부팅 DBX 해지 목록(시스템 UEFI 기반 펌웨어에서 유지 관리)에 추가하여 취약한 모듈을 무효화합니다. 업데이트된 DBX 해지 목록이 디바이스에 설치되면 Windows는 시스템이 DBX 업데이트를 펌웨어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고 문제가 감지되면 이벤트 로그 오류를 보고합니다. 

    질문 2 :

    오류에 따라 UAC가 비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활성화하면 오류 발생을 중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몰리

    댓글 0개 설명 없음
  2. 익명
    2025-01-14T07:30:08+00:00

    이 응답은 자동으로 번역되었습니다. 따라서 문법 오류 또는 이상한 표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Microsoft 커뮤니티 포럼에 게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설명에 따르면 귀하의 질문이 두 가지 질문과 관련이 있음을 이해합니다.

    질문 1 :

    Microsoft 업데이트 카탈로그에서 KB5016061찾을 수없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Windows 디바이스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Microsoft는 취약한 부팅 로더 모듈을 보안 부팅 DBX 해지 목록(시스템 UEFI 기반 펌웨어에서 유지 관리)에 추가하여 취약한 모듈을 무효화합니다. 업데이트된 DBX 해지 목록이 디바이스에 설치되면 Windows는 시스템이 DBX 업데이트를 펌웨어에 성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고 문제가 감지되면 이벤트 로그 오류를 보고합니다. 

    질문1의 답신

    저도 업데이트 카탈로그에서 KB5016061 찾을 수 없는것은 이미 확인하였습니다. KB5016061: 보안 부팅 DB 및 DBX 변수 업데이트 이벤트 - Microsoft 지원 이벤트로그중에서 TPM 업데이트 실패가 뜨고 있는것이 존재하고 일부 PC는 Inaccessible Boot Device 증상을 보이는 pc가 존재하여 윈도우가 정상부팅되지 않고, 안전모드나 복구모드 정상복구 되지지 못하는 증상이 있어 유력한 원인 업데이트를 찾다보니 KB5016061인것으로 추정되어 질문을 드리게 된것입니다.

     

    질문 2 :

    오류에 따라 UAC가 비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활성화하면 오류 발생을 중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질문2의 답신:

    이벤트를 확인하다 보니 LUAFV.sys 이 파일이 차단된다라는 메시지가 존재하고, 블루스크린 발생할수 있다고 들어서, 궁금했던것이며 어떠한 블루스크린 코드가 뜨는지와 블루스크린 명으로 뜨는지가 궁금한것입니다.

    확인하시고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시고, 감사합니다. Smith billBluesky

    댓글 0개 설명 없음
  3. 익명
    2025-01-17T08:05:41+00:00

    이 응답은 자동으로 번역되었습니다. 따라서 문법 오류 또는 이상한 표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Q1 : MS에서 발표 한 새로운 정보가있는 경우이 웹 사이트 및 Windows 업데이트 웹 사이트를 계속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Q2 : 모든 컴퓨터의 오류는 다를 수 있으므로 컴퓨터에서 블루 스크린이 발생하면 모니터를 시도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면에 오류 코드가 표시됩니다.

    감사합니다

    몰리

    댓글 0개 설명 없음